Essays reveal Stephen Hawking predicted race of superhumans 에세이, 스티븐 호킹이 예측한 '초인종 슈퍼휴먼' 공개 | 스티븐 호킹
Essays reveal Stephen Hawking predicted race of 'superhumans' | Stephen Hawking
www.theguardian.com
The late physicist and author Prof Stephen Hawking has caused controversy by suggesting a NEW RACE of SUPERHUMANS could develop from wealthy people choosing to edit their and their children’s DNA.
Hawking, the author of A Brief History of Time, who died in March, made the predictions in a collection of articles and essays.
The scientist presented the possibility that GENETIC ENGINEERING could create a new species of SUPERHUMAN that could DESTROY the REST of HUMANITY. The essays, published in the Sunday Times, were written in preparation for a book that will be published on Tuesday.
“I am sure that during this century, people will discover how to modify both intelligence and instincts such as aggression,” he wrote.
“Laws will probably be passed against genetic engineering with humans. But some people won’t be able to resist the temptation to improve human characteristics, such as MEMORY, RESISTANCE to DISEASE and LENGTH of LIFE.”
A brief history of A Brief History of Time by Stephen Hawking
In Brief Answers to the Big Questions, Hawking’s final thoughts on the universe, the physicist suggested wealthy people would soon be able to choose to edit genetic makeup to create SUPERHUMANS with ENHANCED MEMORY, DISEASE RESISTANCE, INTELLIGENCE and LONGEVITY.
Hawking raised the prospect that BREAKTHROUGHS in GENETICS will make it attractive for people to try to improve themselves, with implications for “UNIMPROVED HUMANS ”.
“Once such SUPERHUMAN
(TRANSHUMANS = who has become UPGRADED NEW HUMAN SPECIES AUTOMATICALLY as Mobile Network keep developing from 5G to 9G, 11G = NON-BIOLOGICAL HUMAN FORM as Ray Kurzweil describes in his book ' The Singularity is Near') appear, there will be significant political problems with UNIMPROVED HUMANS (= peoples who hasn't been UPGRADED into SMARTPHONETIZED CYBORGS themselves, because they have commited some kind of crimes anyhow through their lives) who won’t be able to compete,” he wrote.
“Presumably, THEY WILL DIE OUT, or BECOME UNIMPORTANT.
Instead, there will be a RACE of SELF-DESIGNING BEINGS who are IMPROVING at an EVER-INCREASING RATE.”
https://twitter.com/YOUJINTHEONE/status/1572877302006161409?t=PBxIwT1V_64Ww0x-1cfofw&s=19
Ray Kurzweil's book, The Singularity Is Near is mentioned to help who read my Twitter to understand INTRODUCTION of THE MILLENNIUM, a rapidly progressing DIGITALIZING TREND in everyday life --> In result, country will be distinguished into EMERGENCE OF INTELLIGENCE or RISE OF ZOMBIE
The world is divided into two different kinds after testing DIGITALIZATION AUTOMATION SYSTEM for the MILLENNIUM
--> Contry that succeeded in DIGITALIZATION
-->having EMERGENCE OF INTELLIGENCE, Country that failed in DIGITALIZATION-> having RISING OF ZOMBIES
The comments refer to techniques such as Crispr-Cas9, a DNA-editing system that was invented six years ago, allowing scientists to modify harmful genes or add new ones. Great Ormond Street hospital for children in London has used gene editing to treat children with an otherwise incurable form of leukaemia.
What is Crispr?
Crispr, or to give it its full name, Crispr-Cas9, allows scientists to precisely target and edit pieces of the genome. Crispr is a guide molecule made of RNA, that allows a specific site of interest on the DNA double helix to be targeted. The RNA molecule is attached to Cas9, a bacterial enzyme that works as a pair of "molecular scissors" to cut the DNA at the exact point required. This allows scientists to cut, paste and delete single letters of genetic code.
However,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whether parents would risk using such techniques for FEAR that THE ENHANCEMENTS WOULD HAVE SIDE-EFFECTS.
The astronomer Lord Rees, who was a friend of Hawking at Cambridge University but often disagreed with his peer, noted a sperm bank in California offering only “elite” sperm, including from Nobel prize winners, had closed due to lack of demand.
에세이, 스티븐 호킹이 예측한 '초인종' 공개 | 스티븐 호킹
www.theguardian.com
고(故) 물리학자이자 저자인 스티븐 호킹 교수는 부유한 사람들이 자신과 자녀의 DNA를 편집하기로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초인종 종족이 탄생할 수 있다고 제안함으로써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지난 3월 사망한 A Brief History of Time의 저자인 호킹은 기사와 에세이 모음집에서 예측을 했습니다.
과학자는 유전 공학이 인류의 나머지 부분을 파괴할 수 있는 새로운 종의 초인간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선데이 타임즈에 실린 에세이는 화요일에 출간될 책을 준비하기 위해 쓴 것입니다.
"나는 금세기 동안 사람들이 공격성과 같은 지능과 본능을 모두 수정하는 방법을 발견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인간의 유전공학을 금지하는 법이 통과될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기억력, 질병에 대한 저항력, 수명과 같은 인간의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유혹을 이기지 못할 것입니다.”
Stephen Hawking의 A Brief History of Time의 간략한 역사
우주에 대한 호킹의 최종 생각인 빅 질문에 대한 간략한 답변에서 물리학자는 부유한 사람들이 머지 않아 유전적 구성을 편집하여 기억력, 질병 저항성, 지능 및 수명이 향상된 초인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호킹은 유전학의 돌파구가 "개선되지 않은 인간"에 대한 의미와 함께 사람들이 스스로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을 매력적으로 만들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했습니다.
“그런 초인종
(슈퍼휴먼 = 5G 네트워크망이 9G,11G로 개발됨으로서 스마트폰화 된 사이보그로 자체개발되고 업그레이드 되고있는 트랜스휴먼 = 레이 커즈와일의 저서인 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특이점이 온다', 휴먼은 사이보그가 되고 가상현실이 현실이 된다에서처럼 인간이 비생물학적인 새로운 종으로 탄생하게 되므로)
이 나타나면 이들 초인종과 경쟁할 수 없는 개선되지 않은 인간
( =5G의 보급과 그로인한 자연스러운 주위환경의 변화, 즉, 남극과 북극, 적도를 중심으로 생성되는 전자기장의 형성과 5G통신망의 발달에 의한 전자기파 네트워크 플로잉, 산소의 부족, 이산화탄소 증가등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도태되는 종)
에게 심각한 정치적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그는 적었습니다.
“아마도 그들, 도태되는 종은 죽거나 더이상 중요하지 않게 여기게 될 것입니다. 대신에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자기설계적 존재의 종족이 있을 것입니다.”
이 의견은 과학자들이 유해 유전자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유전자를 추가할 수 있도록 6년 전에 발명된 DNA 편집 시스템인 Crispr-Cas9와 같은 기술을 언급합니다. 런던의 Great Ormond Street 어린이 병원은 치료가 불가능한 형태의 백혈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를 치료하기 위해 유전자 편집을 사용했습니다.
크리스퍼란?
크리스퍼(Crispr) 또는 정식 명칭인 크리스퍼-카스9(Crispr-Cas9)를 통해 과학자들은 게놈의 조각을 정확하게 표적화하고 편집할 수 있다. Crispr은 RNA로 만들어진 가이드 분자로 DNA 이중 나선의 특정 관심 부위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RNA 분자는 필요한 정확한 지점에서 DNA를 자르기 위해 한 쌍의 "분자 가위"로 작동하는 박테리아 효소인 Cas9에 부착됩니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유전자 코드의 한 글자를 잘라내고 붙여넣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강화에 부작용이 생길까 봐 그러한 기술을 사용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호킹의 친구였지만 동료들과 종종 의견이 달랐던 천문학자 리스 경은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하여 "엘리트" 정자만 제공하는 캘리포니아 정자 은행이 수요 부족으로 문을 닫았다고 지적했습니다.
'We still don’t have the technology to verify Stephen Hawking's big ideas' | Stephen Hawking
www.theguardian.com
To my mind, Stephen Hawking’s legacy is twofold: he was both a brilliant scientist who came up with some of the most revolutionary ideas of our time and a great communicator who managed to carry the world with him on a remarkable scientific journey. He got people across the world talking and thinking about complex science.
Some of his early work was linked to Einstein’s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which takes space and time and squashes them together to make what we call a spacetime. If you look at the universe this way you see all sorts of strange phenomena, including black holes. Before Stephen’s work it was thought that nothing could escape a black hole, but his theoretical work led to the theory of Hawking radiation, which allows some radiation to leak from a black hole, enabling them to slowly decay and eventually evaporate.
Stephen also worked on what has been called the Grand Theory of Everything – a single theory that would explain everything in the universe on a small and large scale. In physics, we’ve made great inroads in our understanding our universe. On the very small scale we have quantum mechanics to explain how things work, and on the grand cosmological scale we have general relativity to explain how things operate. But Stephen, with others, was trying to go further to find a theory that linked both these domains. It was a grand challenge, and I cannot think of a better person to take it on.
Cosmology's brightest star Stephen Hawking dies aged 76 – video
I always had the feeling that Stephen was working on a higher operating system than the rest of us, and in that respect, he was a champion for us all in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We didn’t always understand exactly what his research involved, but boy were we glad he was out there, doing it and making the discoveries.
Part of his early research was on singularities, the conditions we think occurred at the start of the big bang and also exist at the centre of a black hole. This is mind-warping stuff, even as a physicist, because it’s so alien from the everyday world that we live in. Stephen, however, gave us a conduit to enter that world and see what was happening beyond. He took the most obscure stuff out there in the cosmos and made it accessible. As a scientist and a science communicator, he was a great inspiration to me and many other physicists who wanted to join the quest to understand what’s out there in the universe.
I’m so glad Stephen was alive for the first detection of gravitational waves in 2016. These were predicted by Einstein’s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but it took a century for technology to catch up, enabling us to detect them. Gravitational wave detectors are giving us a better understanding of black holes, which are hard to study as not even light can resist their gravitational pull. Now we might have the means of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in more detail some of the concepts that Stephen came up with. I’m glad he knew we had this new tool in our toolbox.
Even now we don’t have the technology to verify some of Stephen’s big ideas. But as with Einstein, and others who are well ahead of their time, I feel we will be referring to his work and legacy for many years to come.
Maggie Aderin-Pocock is a space scientist and research fellow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우리는 여전히 스티븐 호킹의 거창한 아이디어를 검증할 기술이 없다' | 스티븐 호킹
www.theguardian.com
내 생각에 스티븐 호킹의 유산은 두 가지입니다. 그는 우리 시대의 가장 혁명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낸 뛰어난 과학자이자 놀라운 과학적 여정에서 그와 함께 세상을 함께한 위대한 커뮤니케이터였습니다. 그는 전 세계 사람들이 복잡한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생각하게 했습니다.
그의 초기 작업 중 일부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반 상대성 이론은 공간과 시간을 가져와 함께 부수어 우리가 시공간이라고 부르는 것을 만듭니다. 우주를 이런 식으로 보면 블랙홀을 비롯한 온갖 기이한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Stephen의 연구 전에는 블랙홀을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했지만 그의 이론적 연구는 블랙홀에서 일부 방사선이 누출되어 천천히 붕괴되고 결국 증발할 수 있게 하는 호킹 복사 이론으로 이어졌습니다.
Stephen은 또한 우주의 모든 것을 크고 작은 규모로 설명할 수 있는 단일 이론인 만물의 대이론(Grand Theory of Everything)을 연구했습니다. 물리학에서 우리는 우주를 이해하는 데 큰 진전을 이뤘습니다. 아주 작은 규모에서 우리는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는 양자 역학을 가지고 있고, 거대한 우주론적 규모에서 우리는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는 일반 상대성 이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Stephen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이 두 영역을 연결하는 이론을 찾기 위해 더 나아가려고 했습니다. 그것은 큰 도전이었고 나는 그것을 맡을 더 나은 사람을 생각할 수 없습니다.
우주론의 가장 빛나는 별 스티븐 호킹이 76세의 나이로 사망 – 비디오
저는 항상 Stephen이 우리보다 더 높은 운영 체제에서 작업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고, 그런 점에서 그는 우주를 이해하는 데 있어 우리 모두의 챔피언이었습니다. 우리는 그의 연구가 관련된 내용을 항상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소년은 그가 거기에 있고, 그것을 하고, 발견을 하고 있어서 기뻤습니다.
그의 초기 연구의 일부는 특이점, 즉 빅뱅이 시작될 때 발생했으며 블랙홀의 중심에도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조건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 세계와 너무도 낯설기 때문에 물리학자로서조차 정신을 뒤흔드는 일입니다. 그러나 Stephen은 우리에게 그 세계로 들어가 그 너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볼 수 있는 통로를 주었습니다. 그는 우주에서 가장 애매한 것들을 가져다가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과학자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로서 그는 저와 우주 저쪽에 무엇이 있는지 이해하기 위한 탐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다른 많은 물리학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스티븐이 2016년 중력파의 첫 번째 탐지를 위해 살아 있어서 너무 기쁩니다.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예측되었지만 기술이 따라잡을 수 있고
우리가 중력파를 탐지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한 세기가 걸렸습니다. 중력파 탐지기는 빛조차 중력에 저항할 수 없기 때문에 연구하기 어려운 블랙홀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이제 우리는 Stephen이 생각해 낸 몇 가지 개념을 더 자세히 조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단을 갖게 될 것입니다. 그가 우리 도구 상자에 이 새로운 도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기쁩니다.
지금도 우리는 스티븐의 거창한 아이디어 중 일부를 검증할 기술이 없습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과 시대를 훨씬 앞서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나는 우리가 앞으로 수년 동안 그의 업적과 유산을 언급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Maggie Aderin-Pocock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우주 과학자이자 연구원입니다.
[인체 해킹 시대, 혁명인가 디스토피아인가]
‘인체 해킹’ 시대, 혁명인가 디스토피아인가
#1. 지난 2월17일 <더레지스터> 는 미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원(DARPA)이 시각 피질에 이미지를 주입할 수 있는 직접 신경 인터페이스(DNI)를 개발 중이라고 보도했다. 국방고등연구원은 니켈 2장 두께의 얇은 칩을 10달러 수준으로 개발하는 것을 단기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인간 두뇌에 삽입하는 이 칩의 개발이 완료되면 오큘러스VR나 구글글래스 같은 보조 기구 없이도 가상현실 이미지를 인간의 두뇌에 직접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의 뇌와 컴퓨터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완성되는 것이다.
#2. 지난 3월27일, 한 바이오해커 그룹은 야간에도 사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점안액’을 개발해 직접 실험에 옮겼다. ‘클로린 e6’라는 이름이 붙은 이 점안액은 잠시 동안이지만 인간의 시력을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아직 일반인이 직접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안전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 약을 개발한 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해킹 그룹 ‘대중을 위한 과학’은 보다 치밀한 연구를 통해 적어도 7시간 동안 야간 시야 확보가 가능한 점안액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약이 개발되면 야간뿐 아니라 심해에서도 인간이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간 이후의 인간,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가 결합한 트랜스휴먼. (이미지 : 플리커 ‘alphadesigner’ by-nc-nd)
누트로박스 공동창업자인 제프리 우는 지난 3월 <테크크런치> 기고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네트워크화 된 컴퓨터가 20세기 지배적인 혁신 플랫폼이었다면 21세기에는 인간이 그렇게 될 것이다.”
인간이 플랫폼이 된다는 표현은 여러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이전까지 제어와 해킹의 대상이 컴퓨터나 서버였다면 이제는 인간 그 자신이 해킹의 목표가 된다는 뜻을 품고 있다. 인간이라는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이를 조작하고 변경하는 작업이 서서히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는 얘기로 해석되기도 한다.
누트로픽스(Nootropics)라 는 게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기억과 지능,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 스마트 의약품을 지칭한다. 1972년 루마니아 화학자 코르넬리우 주르자가 신경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등의 목적으로 개발한 의약품을 일컫기 위해 조어했다. 쉽게 말하면 ‘뇌 보약’이다.
바이오해킹은 누트로픽스처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엔지니어링 작업이다. 2013년 팀 캐논이라는 해커가 팔에 블루투스 칩을 심어 집안 내 다른 사물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사물의 인터넷이 인간으로 확장되면 이 또한 바이오해킹이라 말할 수 있다.
누트로픽스나 바이오해킹은 인간 능력의 강화를 시도하는 운동 혹은 문화로 실리콘밸리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일부는 ‘DIY 바이오해킹’이라는 표현을 동원해 하나의 놀이 문화처럼 확산시키고 있다.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는 또다른 인류를 설계하는 작업이 이런 방식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은 놀랍기도 하다.
인간을 넘어선 인류, 이른바 포스트휴먼을 향한 인간의 욕망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불로장생을 꿈꿔 왔던 인류의 역사와 그 궤를 같이 한다. 과거엔 그것이 꿈이었다면 지금은 그것이 현실이 되고 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일반적으로 포스트휴먼으로 가는 과도기적 과정에 트랜스휴먼이 존재한다. 트랜스휴먼이라는 용어가 1949년 테야르 드 샤르댕에 의해 언급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인류는 인류 이상의 인류를 일찌감치 연구해왔다. 심지어 줄리안 헉슬리와 같은 동물학자는 1957년 “현생 인류가 베이징 원인과 다르듯이 앞으로 인간은 새로운 차원의 존재로 바뀌는 시점에 있다”며 트랜스휴먼의 탄생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인류의 진화종이라는 시각이 다분히 깔려 있다.(김연순, 2010; 257쪽)
한쪽으로 인공지능, 한쪽으로 인간 강화
바이오해킹 그룹 그라인드하우스 웹웨어
트랜스휴먼은 인공지능과는 쌍두마차다. 트랜스휴먼이 인간의 지적, 신체적 능력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면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 기계적 행위자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다. 두 분야는 서로 경쟁하듯 기술적 진전을 이뤄가면서도 상호 보완하는 관계에 놓여 있기도 하다.
레이 커즈와일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는 두 분야의 미래를 동시에 예측하는 전문가 가운데 한 명이다. 커즈와일 이사는 올해 1월초 한 콘퍼런스에 참석해 “2040년 전까지 인간의 정신과 의식을 업로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간 기억력의 한계가 사라질 것이라는 의미기도 하다.
동시에 그는 “2040년대엔 비생명 지능(인공지능)이 생명 지능을 10억배 능가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의 말을 받아들이면 트랜스휴먼의 능력 강화보다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가 훨씬 빨라 미래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이를 상징하는 단어가 바로 ‘특이점’이다.
인간의 몸이 기계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인간이 플랫폼화하는 경향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로봇에 각종 주변 기기가 장착되고 OS가 내장되는 것처럼, 인간의 몸에도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거나 운영된다. 바이오해커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제어 방식으로 인간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트랜스휴머니스트 선언‘을 보면 이들이 지향하는 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간성은 장차 과학과 기술에 의해 근본적인 부분까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우리는 노화, 인지적 결함, 불의의 고통을 극복하고 지구의 한계를 벗어남으로써 인간의 잠재력을 확장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트랜스휴머니스트 선언 1조)
이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궁극적으로 인간과 인터넷을 연결시키길 꿈꾼다. 대표적인 바이오해킹그룹인 그라인드하우스 ��웨어는 “안전하고 저렴한 오픈소스 기술을 활용해 인간의 능력을 증강시키는 걸 목표로 삼는다”고 밝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나 센서를 인간의 몸에 삽입하거나 인터넷과 몸을 연결해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걸 희망한다고 선언하고 있다.
지난 3월 시스코 자료에 따르면, 이 그라인드��웨어는 신체 내부에 이식하는 ‘서카디아’라는 기기를 개발 중이다. 이 서카디아는 몸속에서 주요 건강 지표를 측정해 스마트폰이나 다른 기기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라이언 오셔 공동창업자는 “우리는 인간의 신체를 증강시키는 데 이런 기술을 활용하고 싶다”고 말했다.
플랫폼으로서의 인간과 도덕의 위기
신체에 이식하는 RFID 태그.(이미지 출처 : Light Warrior 퍼블릭도메인)
인간을 플랫폼으로 다루려는 일련의 흐름은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낳는다.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인간 프로젝트는 사실상 종말을 구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인간의 본성에 기술적 요소가 중심이 되면서 고전적인 인간의 정의는 대부분이 파괴될 처지에 놓여있다.
트랜스휴머니스트인 철학자 닉 보스트롬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2004년 <포린 폴리시>와의 인터뷰에서 인간의 정의에 대해 이렇게 답변한 바 있다.
“트랜스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인본주의)의 확장이며 인간과 이성을 중시하는 휴머니즘을 추구하지만, 과학 기술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을 계발한다는 점이 다르다”
불평등의 문제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인간의 능력을 강화하는 스마트 약품이나 기술적 기기들은 부자들의 전유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동일한 욕망을 지닌 인간 주체이지만 정작 자신을 강화할 수 있는 혜택은 부자들에게만 돌아갈 것이라는 게 요지다.
기술 비평가인 빌 맥키벤은 “유전 능력의 강화와 같은 바이오해킹 기술은 권력과 부, 교육에서 일어난 전 세계적 차원의 양극화를 우리 생명 분야에까지 확장하는 결과를 만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사회에서 강화된 인간 부류와 열등한 인간 부류가 공존하는 암울한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몸의 플랫폼화는 우리가 알고 있는 신체의 퇴화를 상징한다. 그리고 우리가 알지 못하는 신체의 강화를 의미한다. 몸을 스마트폰처럼 해킹하고 변형하고 조작하면서 인간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인간의 감각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그것이 김연순 박사의 말처럼 “참된 미래의 인간상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에 대한 해답도 결국엔 인간이 내놓아야 한다. 다만, 수많은 사물의 인터넷 속에 편입된 작은 노드 하나로 인간의 존재 가치가 전락한다면 분명 우울하긴 할 것이다.
Twitter@YOUJINTHEONE
https://youtube.com/@supercomputernewsletter888